레이블이 우분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우분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0년 7월 30일 목요일

우분투 systemctl 자동실행/등록/삭제/제거 | 부팅시


활성화 및 시작
sudo systemctl enable 프로세스
sudo systemctl start 프로세스


종료 및 비활성화
sudo systemctl stop 프로세스
sudo systemctl disable 프로세스


불필요한 서비스 삭제
sudo systemctl reset-failed

2020년 7월 25일 토요일

우분투 Ubuntu afp 설정





/etc/netatalk/AppleVolumes.default 

에서 경로 수정.


설정 후, 

sudo /etc/init.d/netatalk restart

리스타트.

2018년 6월 16일 토요일

우분투 18.04 LTS apache2 php7.2 연동

우분투 18.04 LTS apache2 php7.2 연동



우분투를 14.04 LTS -> 16.04 LTS -> 18.04 LTS
로 업그레이드 하였다.


업그레이드 하고 나니, php7.0로 되었는데,

<? php phpinfo(); ?> 로 php페이지에 아무리 이리저리 찍어보아도
정보페이지가 안 나온다.


이것저것 깔짝깔짝 설정해보고 했는데도 안 돼서
한 일주일 방치하고 있다가 
에라이 php7.2로 업그레이드 하였다.



add-apt-repository ppa:ondrej/php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sudo apt-get install php7.2-gd

a2enmod php7.2

sudo service apache2 restart


하고 나니, 드디어 phpinfo 페이지가 출력된다.


끝.



ps.
php7.2에서는 owncloud가 지원 안 되고 있다.
우째 이런 일이..

2018년 6월 4일 월요일

[ 해결 ] usr/bin/ld: cannot find -lgcrypt



usr/bin/ld: cannot find -lgcrypt

텔레그램 make 할 때 나오는 에러.



sudo apt-get install libgcrypt11-dev
sudo apt-get install libgcrypt20-dev




해결.


2018년 6월 3일 일요일

[우분투] 텔레그램 나스에서 메세지 전송.

우분투 서버에서 텔레그램으로 메세지 보내기

리눅스 텔레그램
우분투 telegram
우분투 문자 보내기
텔레그램 나스에서 메세지 전송.
OMV 텔레그램 






나스(NAS)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서버에서 뭔가 이상이 있을 때, 사용자에게 바로바로 알려주면 참 좋을 것이다.

그래서 첫 번 째로 생각했던 것이 이메일이었는데
이메일을 꽤 오랫동안 사용해보니, 뭔가 되기는 하는데
빠릿빠릿한 즉각즉각 반응이 아니다. 


차라리 카톡처럼 알림이 오면 좋을 텐데..

해서, 찾아보니 텔레그램(Telegram)이라면 어플이 있더라.
이 어플이 꽤나 유명했다.
보안이 좋고, '잊혀질 권리'를 존중하여 내가 메세지를 삭제하면
서버에서도 삭제되어 복구할 수가 없다고 한다.


아무튼, 서버에 이상이 생기면 바로바로 어플로 메세지 받을 수 있게
설치를 해보았다.







우분투에서 관련 페키지를 설치해준다.

sudo apt-get install libreadline-dev libconfig-dev libssl-dev lua5.2 liblua5.2-dev libevent-dev libjansson-dev libpython-dev python-DEV make




Telegram Cli 을 다운받아야 하는데, 
본인이 원하는 위치에 적당히 디렉토리 하나 생성한 뒤, 

git clone --recursive https://github.com/vysheng/tg.git

로 다운 받는다.


다운 받으면 그 위치에 tg라는 디렉토리가 생성되는데, 

cd tg
로 들어가서, 

./configure
명령어를 치고

make 
해주면 끝.





생각보다 상당히 간단하다. 
하지만 한 번에 될리가 없지 않은가..

여러가지 이슈가 당연히 있었다.



우분투에서는 make를 해줬을 때, 

tgl/crypto/rsa_pem_openssl.c:41:6: error: dereferencing pointer to incomplete type
   ret->e = unwrap_bn (TGLC_bn_new ());

이런 종류의 에러메세지가 와장창 나왔었고, 



OMV에서는 

telegram-cli: tgl/mtproto-utils.c:101: BN2ull: Assertion `0' failed.

이런 이슈가 있었다.






다 됐으면 테스트를 해봐야 한다.

텔레그램을 설치했던 tg 디렉토리에서

bin/telegram-cli -k tg-server.pub -W

를 실행하면, 
콘솔 형식이 변하면서 해당 프로그램으로 진입을 하게 되는데,

처음 실행시, 10~30초 정도 기다리면

phone number

라고 뜨면서, 기입하라고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럼 본인 핸드폰 번호가 010-9876-2222 이라면,
+821098762222
라고 입력을 해준다.

그리고 난 다음
Register(Y/n)
이라고 나올 텐데, Y 라고 해주고

First Name
Last Name

순차적으로 입력을 해주면 된다.

그리고 나서 인증 번호를 입력하라고 나올텐데, 문자로 인증번호가 오면
입력하고 완료.

그럼 

>

이 상태로 멈춰있을 것이다.

입력을 해보자.
만약 

First Name Teacher       (이름)
Last Name Lee              (성)

라고 입력했다면,

> msg Teacher_Lee Hi Test


이름과 성 중간에 _ 를 반드시 넣어주어야 한다.

만약 

FAIL: 38: can not parse arg #1

이라는 에러메세지가 떴으면, 이름을 잘못 입력한거니, 
다시 확인을 잘 해봐야 한다.


그럼 텔레그램 어플을 실행 시켜 보면, 메세지가 자기 자신한테 전송된 걸 확인할 수 있다.


그럼 이번엔, 터미널 서버에서 입력 하나로 바로 전송하게 해보자.


bin/telegram-cli -k ./tg-server.pub -W -e "msg Teacher_Lee Second Test"


이렇게 하면, 텔레그램 cli를 실행시킨 상태에서 msg를 입력하는 방식이 아니라,
서버 콘솔화면에서 저 명령어를 입력하면 바로 메시지가 날라간다.


이 방법을 알았으니, 이제 sh 스크립트 언어나, 프로그램에 넣어
서버 상태를 바로바로 텔레그램에 전송하면 될 것이다. 









몇 가지 이슈를 더 보고 가자. 



1. 인증을 하는데 어느 순간 부터

phone number

에서 멈춰 있는 경우.






2. 나는 이런 걸 원하는 게 아니야.
왜 알림 소리도 안 나오고, 벳지 표시도 안 나고, 잠금화면에도 반응이 없는 거지?
(텔레그램 계정 2개 만드는 방법)





3. 텔레그램 cli 인증하고 났는데, 로그아웃하는 방법은?





4. 참고 사항 (중요)!!

번호 이동을 하게 될 때, 카톡은 신경 안 쓴다. 왜냐하면, 새로운 번호로 카톡 인증을 다시하게 되면, 전에 쓰던 번호에선 자연스레 못 쓰게 되니까.

근데 텔레그램은?
그렇게 안 된다. 내가 쓰던 번호를 다른 사람이 넘겨 받으면, 내가 사용했던 정보들이 나올 수 있다.

그러니, 번호 이동하기 전에 꼭 텔레그램을 탈퇴하도록 하자. 
어플 내에 번호 이동이라는 게 있는데 어떻게 동작하는지는 아직 사용해보지 않았다.


잘 알아내어 불상사가 생기지 않도록 하자.







끝.



텔레그램 cli 로그아웃하는 방법.

텔레그램 cli 로그아웃하는 방법.




텔레그램(telegram) cli 를 리눅스 서버에 전화번호 인증을 했을 때, 

다시 인증을 받고 싶은 경우 ( 아니면, 다른 번호로 인증을 다시 받고 싶은 경우 )



터미널에서 

cd


를 쳐보면, 기본 레벨로 이동이 될텐데, 

거기에

.telegram-cli

디렉토리가 생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걸 통째로 삭제해도 되고,


.telegram-cli/auth

파일만 삭제해도 된다.




끝.



카톡 계정 2개, 텔레그램 Cli, 알림이 안 오는 경우, (텔레그램 계정 2개) (카톡 계정 2개)



텔레그램 Cli, 알림이 안 오는 경우.
텔레그램 계정 2개
카톡 계정 2개
라인 계정 2개
다중 계정
텔레그램 부계정 사용하기
카톡 부계정 사용하기
라인 부계정 사용하기
텔레그램 전화번호 없이 가입
텔레그램 가상번호 가입






일단 날짜부터 확인하자. 
본인은 2018년 6월 2일에 계정 2개를 시도하여 성공하였다.

gogo.




텔레그램 사용하지 않은 사람은 Skip -------------------------------------

개인 서버에 텔레그램(telegram) Cli를 설치하고 나서, 

msg를 보내면


텔레그램 저장한 메시지에 오른쪽 말풍선으로 계속 전송 오는 걸 볼 수 있다.

알림도 안 울려, 벳지도 안 생겨, 잠금화면에서도 메시지가 온 걸 볼 수가 없다.


생각해보면 당연한 거다.



서버에서 본인 핸드폰 번호로 인증을 했으니, 
그냥 본인이 본인 텔레그램으로 전송을 했으니, 당연히 울리지 않은 것.


타인이 전송을 해야 울리는 거다.



신나게 서버 알림용으로 설치하고 나니, 이런 불상사가.

이걸 해결하려면, 번호가 두 개여야 하고, 
다른 번호 계정으로, 지금 내 휴대폰의 계정으로 문자를 쏴야하는 것.

--------------------------------------------------------------------------------





방법은 하나 밖에 없다. 

휴대폰 번호를 두 개 쓰는 것.

이 방법은 텔레그램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카톡이나 라인 등 모든 메신저에서 계정을 2개 이상 사용하는 방법이 되겠다.



1. 각 통신사 마다 번호 두 개 쓰는 부가 서비스가 있다. 
    월 3,300원 이다. 


물론 이 방법을 사용하진 않겠지.
우리가 알아보려는 건, 바로 구미가 당기는 아랫 방법이 아니겠는가.
이 글을 보는 목적이기도 하고.

그렇다.


2. 가상 번호를 생성하여, SMS로 인증 번호 받아서 가입하기!

그렇다. 가상 번호를 받아야 한다.
이 가상 번호는 어플을 사용하면 받을 수 있더라. 
근데 안 되는 어플이 참 많았다.

후..

textPlus 어플 : 인증 문자가 안 온다.
Text Me 어플 : 가입하여, 가상 번호를 받고나서, 휴대 전화로 전화 통화, 문자까지 성공하였지만
                        인증 번호를 요구하는 문자가 가면, 이걸 막아놓고, 이걸 받기 위해선
                        유료로 사용해야한다고 나와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무료로 한 것 같은데 ㅆ..

그리고..

TextNow 어플 !!!

이 어플로 성공을 했다.
일단 어플을 설치하고 간단히 가입을 한다.
그 후, 대충 전화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여, 내 휴대폰으로 전화를 건다.

이건 가상 번호가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내 휴대폰에 번호가 뜰텐데 확인을 해보면,

001 1 (318) 444-2211 

뭐 이렇게 떠있을 것이다.
이 번호로 전화를 해봐도 되고, 문자를 전송해도 살짝 텀이 있었지만
전송이 되었다.

문자 전송을 확인하고, 텔레그램을 인증 받아봤다.

001은 국제번호니 빼고

+13184442211
입력하면 된다.

카톡 같은 경우는 +1 이 미국이니,
+82 인 한국이 아니라, 미국을 선택 후,
3184442211 
을 입력하면 될 것이다.


그러면 인증번호가 TextNow로 올 것이다!!





그럼 인증을 받고 사용하면 된다.








끝.



+ 2018.09.16 추가
TextNow 번호 얻은 거 계속 사용할 건지 금액을 요구하는데,
결재 안 해서 만료됨.
3개월 정도 사용한 것 같다.




[ 해결 ] 텔레그램 phone number 에서 멈춘 경우.

텔레그램 phone number 에서 멈춘 경우.




텔레그램 Cli 를 서버에 설치하여, 인증을 받을 때, 

phone number

에서 멈춰있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건 전화번호 인증을 하도 많이 해서,
텔레그램 측에서 막은 거다.


핸드폰 텔레그램 어플로 한 번 가입을 해보시라.
인증을 많이해서 당분간 정지 됩니다. 라고 경고창이 뜰 것이다.


그냥 속 편하게 접고, 다음날 다시 시도하면 된다.


해결.


끝.



[ 해결 ] tgl/crypto/rsa_pem_openssl.c:41:6: error: dereferencing pointer to incomplete type ret->e = unwrap_bn (TGLC_bn_new ());



우분투에서 텔레그램 make할 때 나오는 에러 메세지.



---------------------------------------------------------------------------------------------------------
tgl/crypto/rsa_pem_openssl.c: In function ‘TGLC_rsa_new’:
tgl/crypto/rsa_pem_openssl.c:41:6: error: dereferencing pointer to incomplete type
   ret->e = unwrap_bn (TGLC_bn_new ());
      ^
tgl/crypto/rsa_pem_openssl.c:42:33: error: dereferencing pointer to incomplete type
   TGLC_bn_set_word (wrap_bn (ret->e), e);
                                 ^
tgl/crypto/rsa_pem_openssl.c:43:6: error: dereferencing pointer to incomplete type
   ret->n = unwrap_bn (TGLC_bn_bin2bn (n, n_bytes, NULL));
      ^
tgl/crypto/rsa_pem_openssl.c: In function ‘TGLC_rsa_n’:
tgl/crypto/rsa_pem_openssl.c:49:37: error: dereferencing pointer to incomplete type
     return wrap_bn (unwrap_rsa (key)->M);                                      \
                                     ^
tgl/crypto/rsa_pem_openssl.c:52:1: note: in expansion of macro ‘RSA_GETTER’
 RSA_GETTER(n);
 ^
tgl/crypto/rsa_pem_openssl.c: In function ‘TGLC_rsa_e’:
tgl/crypto/rsa_pem_openssl.c:49:37: error: dereferencing pointer to incomplete type
     return wrap_bn (unwrap_rsa (key)->M);                                      \
                                     ^
tgl/crypto/rsa_pem_openssl.c:53:1: note: in expansion of macro ‘RSA_GETTER’
 RSA_GETTER(e);
 ^
tgl/crypto/rsa_pem_openssl.c: In function ‘TGLC_rsa_n’:
tgl/crypto/rsa_pem_openssl.c:52:1: error: control reaches end of non-void function [-Werror=return-type]
 RSA_GETTER(n);
 ^
tgl/crypto/rsa_pem_openssl.c: In function ‘TGLC_rsa_e’:
tgl/crypto/rsa_pem_openssl.c:53:1: error: control reaches end of non-void function [-Werror=return-type]
 RSA_GETTER(e);
---------------------------------------------------------------------------------------------------------



이렇게 촤르륵 뱉어낸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해보고 다시 해봤는데도 안 되고, 



인터넷 찾아보니

sudo apt-get install libgcrypt11-dev
sudo apt-get install libgcrypt20-dev
sudo apt-get install libssl1.0-dev

추가 설치해도 실패.



그러다가

./configure --disable-ssl

(./configure을 해줬던 위치에서.)


을 해준 뒤, 

make clean 
하고 다시


make 하니, 잘 되었다.


해결.


끝.


2018년 2월 10일 토요일

우분투 프린터 서버 설치, 아이폰 AirPrint 사용하기



우분투 프린터 서버 설치, 아이폰 AirPrint 사용하기
일반프린터 무선프린터로 사용하기.
일반프린터 AirPrint로 사용하기.
아이폰 AriPrint.
-------------------------------------------------------------------

NAS를 하나 구축한 건, 정말이지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이제서야 남는 프린터 한 대로 프린터 서버를 설치하게 되었는데,
정말이지 너무 만족스럽다.


남는 프린터 한 대를, 우분투로 구축한 NAS에 (USB) 연결을 한다.
이제 일반프린터를 무선프린터로 만들어보자.


sudo apt-get install cups

설치완료. ============================================






설정 부분 수정.

sudo vi /etc/cups/cupsd.conf
------------------------------------------------------------------------
#localhost:631
Port 631

<Location />
  # Allow remote access...
  Order allow,deny
  Allow all
</Location>
<Location /admin>
 Order deny,allow
 Allow From 192.168.0.*
</Location>
<Location /admin/conf>
  AuthType Default
  Require user @SYSTEM
  Order deny,allow
  Allow From 192.168.0.*
</Location>
------------------------------------------------------------------------
설정 파일을 수정해준다.
localhost:631 부분은 주석처리하고, Port 631로 바꿔준다.
기타 그 이하는 겹치는 게 있으면 추가 안 해도 되고, 나머지 부분은 추가해주면 된다.
내부 네크워크만 허용한다는 의미이다.


설정이 완료 되었으면,
ESC
:wq

설정 완료 =============================================
후,




sudo /etc/init.d/cups restart
재실행을 해준다.









여기까지 완료되었으면, 확인을 해보다.

인터넷창을 하나 띄운뒤,

본인 내부 IP:631 
ex) https://192.168.0.33:631
로 접속을 해본다.

안 된다.
하아.. 이건 또 뭔가.. 왜 안 되나.. 했는데
방화벽 (ㅋ)

방화벽에 포트 631을 추가한 뒤, 다시 접속을 해보면 예쁘게 잘 나온다.

여기서 프린터 부분을 설정해준다.


리눅스(NAS로 쓰고있는)에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정하고, 출력할 수 있게 제어해주는 화면이다.


이제 프린터를 잡아주도록 한다.









로그인을 물어보면, 본인 NAS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치면 된다.





우분투에 연결된 로컬 프린트가 잘 나와있다.
Continue ㄱㄱ



이름 적당히 알아서 잘 잡혀있으니, 신경 안 써도 되고,
Share This Printer 부분에 체크를 해주도록 하자.
Continue.




자.. 이 화면이 나와버렸다.
우리집 프린터가 M2020 모델인데, 그냥 맨 위에 있는 아무 드라이버 선택한 뒤,
해봤더니, 안 된다.
꼭 본인 프린터 모델에 맞는 드라이버를 선택해야 한다.
웬만한 프린터는 다 있을 거라곤 했지만, 우리집 프린터 모델 드라이버는 없었다.

여기서부터 당신이 헤쳐나가야할 단계이다.

나 같은 경우는, 구글에 '프린터 모델명, 리눅스 다운로드(ex. Samsung M2020 리눅스 다운로드)'
요리조리 검색을 해서 드라이버를 구하였다.
우리가 필요한 건 윈도우용 프린터 드라이버(exe) 가 아니다.
리눅스용으로 설치해야한다.

그리고 리눅스 버전에는 PPD 파일이 있는건지 뭔지 없었고, 알집으로 되어있는 드라이버를
다운 받은 뒤, install.sh 을 실행하여 설치했다.

설치하면, cups에 자동으로 추가된다.


다시 단계적으로 진행해서 오면,
Mode : Samsung M2020 Series 라는 드라이버(맨 위)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선택 후, Add Printer !





나는 그냥 퀄리티만 high로 설정해주고 set Default Options 눌러주었다.
누르고 나면 성공! 화면이 나온다.






Printers를 클릭하여 이동해보면 추가가 잘 되어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혹시 잘못 작성해서 설정된 저 프린터를 삭제하고 싶으면,
Queue Name 의 프린트 이름을 클릭한 뒤,

이 콤보박스를 클릭하여 Delete Print를 선택한 뒤,

삭제해주면 된다.
(삭제하는 부분 없는 줄 알고 한참 찾았다.)



프린터 설정 완료 ==========================================

서버에서 설정할 부분은 완료가 되었다.
잠시 몸 풀고, 커피 한 잔 마시고 오자.





==========================================================
==========================================================
==========================================================


이제 가벼운 마음으로 프린트를 해보자.
지금까지 한 것은, 우분투를 서버로 쓰고 있는 부분을 수정한 것이고,
이제 윈도우10에서 인쇄를 하면, 정보를 쏴서, 우분투에서 받아서 인쇄를 한다.

윈도우10에서 네트워크 프린터를 잡아본다.





제어판에서 '장치 및 프린터'




프린터 추가를 클릭




기다릴 필요없이, '원하는 프린터가 목록에 없습니다.' 를 클릭한다.




'이름으로 공유 프린트 선택'을 선택 후, 이 안에 주소를 넣어준다.
어느 주소냐면, 우리가 서버에서 설정했던





이 CUPS 화면에서 추가했던 프린터를 클릭하면,



이런 화면이 나오는데, 이때, http 주소를 복사를 한 뒤,




이렇게 붙여넣기 한다.
https 로 붙여넣기 되어있을 텐데, s를 빼야한다. 
http://~~  로 주소를 넣고 '다음' 버튼 눌러서 완료하면 된다.



자!
이제 기쁜 마음으로 아무 메모장이나 워드를 열고, 아무거나 적은 뒤, 인쇄를 하여
방금 설정했던 저 프린트를 선택하고 출력을 해보자.

잘 될 것이다!!!!!!!!!!














그렇다. 다른 사람들은 잘 된다고 하더라.
난 안 됐다. ㅆ....


내가 출력하면,
---------------------------------------------------------------
@PJL COMMENT ~~~~~
@PJL COMMENT
@PJL SET
@PJL DEFALT
@PJL COMMENT
@PJL ......
@PJL ....
@PJL ...
@PJL
@PJL
@PJL
@PJL
@PJL
@PJL
@PJL
@PJL
@PJL
---------------------------------------------------------------
종이에 이런식으로 인쇄가 되어 나온다..
아무리 해봐도 저런식으로 나오는데,
검색해보니, http로 할 때, 이런 이슈가 있다고 한다.
삼바(Samba)로 잡아서 설정하면 해결된다고 한다.



저렇게 해서 잘 된 사람은 그냥 쓰면 될 것 같고,
안 된 사람이 있다면, 삼바부터 설치하고 오도록 하자.


삼바는 보통 설치하고 이용하고 있을 테니, 바로 설정 부분으로 간다.





프린터 삼바설정.

vi /etc/samba/smb.conf
-------------------------------------------------------
[global]
printcap name = cups
load printers = yes
cups options = raw
printing =cups

[printers]
   //comment = All Printers
   browseable = no
   path = /var/spool/samba
   printable = yes
   //guest ok = no

   read only = yes
   create mask = 0700
   comment = Shared Printer
   quest ok = Yes
   use client driver = Yes
-------------------------------------------------------
프린터 삼바 설정 완료 ====================================


후에,
sudo /etc/init.d/smbd restart 
로 재시작.




겹치는 부분이 있다면, 알아서 잘 주석처리 해주면서 추가해주면 된다.
'아니 프린터를 하는데 삼바로 하다니 뭔 구조? 뭐 어떻게 나타난다는 것?' 이라며 궁금해했는데,

우리가 삼바에서 폴더부분을 설정해주면, 네트워크 드라이버로 연결했을 때
해당 폴더가 보이는 것 처럼,
저렇게 설정해주면, 폴더처럼 프린터 부분이 보인다.


즉,
폴더 하나를 열어서
\\192.168.0.XX 을 쳐준다.



이렇게 설정이 완료 됐으면, 프린터가 삼바로 잡혀있다.






다시 장치 추가해보자.







이 부분을 이제 어떻게 채워넣느냐.
아까 이 부분을
https://192.168.0.XX:631/printers/Samsung_M2020_Series1
이렇게 채워넣었을텐데 이걸
\\192.168.0.XX\Samsung_M2020_Series1
이렇게 채우고, 다음을 누른다.

그럼 삼바로 잡힌 프린터가 추가된 것을 볼 수있다.

워드나 메모장에 아무거나 적고 인쇄를 해보았더니 아주 잘 된다.


일반 프린터, 무선 프린터로 사용하기 완료 =============================


이렇게 되면, 같은 공유기를 쓰는 어떤 PC든 간에, 공용으로 저 프린터를 쓸 수 있다.









##################################################################




이제 아이폰, 아이패드에서 AirPrint 기능이 있는데, 이걸 잡아보도록 하자.
솔직히 이것까지 될 줄은 몰랐다.
정말 소소한 부분에서 애플에 항상 감동받는다.
아이폰 쓴지 3년 됐는데, 또 감동 받을 줄이야.

아무튼 설정을 해보자.
생각보다 간단했다.



새로운 파일을 하나 생성해야 한다.

sudo vi /etc/avahi/services/printer.service
---------------------------------------------------------------------------------------
<?xml version='1.0' encoding='UTF-8'?>
<!DOCTYPE service-group SYSTEM "avahi-service.dtd">
<service-group>
  <name replace-wildcards="yes">AirPrint Samsung M2020 @ %h</name>
  <service>
    <type>_ipp._tcp</type>
    <subtype>_universal._sub._ipp._tcp</subtype>
    <port>631</port>
    <txt-record>txtvers=1</txt-record>
    <txt-record>qtotal=1</txt-record>
    <txt-record>Transparent=T</txt-record>
    <txt-record>URF=none</txt-record>
    <txt-record>rp=printers/Samsung_M2020_Series</txt-record>
    <txt-record>note=Raw Queue with Samsung driver </txt-record> 
    <txt-record>product=(GPL Ghostscript)</txt-record>
    <txt-record>printer-state=3</txt-record>
    <txt-record>printer-type=0x82b01c</txt-record>
    <txt-record>pdl=application/octet-stream,application/pdf,\
       application/postscript,image/gif,image/jpeg,image/png,\
       image/tiff,image/urf,text/html,text/plain,\
       application/vnd.cups-banner,application/vnd.cups-command,\
       application/vnd.cups-pdf,\
       application/vnd.cups-postscript</txt-record>
   </service>
</service-group>
---------------------------------------------------------------------------------------
새로운 파일을 저렇게 만들어준다.
굵은 부분은 자기에 맞게 바꿔 주면될 것이다.
중요한게 rp=
부분인데, 여기서 경로를 지정해주는 것 같으니, 해당 경로를 주의깊게 적으면 될 것이다.



그리고 깔끔하게 재부팅을 하고.

아이폰으로 넘어가보면,

메모나, 인터넷이나, 들어가서 프린터를 눌러보면,




처음엔 프린터 부분에 아무것도 없을텐데, 클릭을 해보면
알아서 검색한 뒤, 검색한 프린트를 선택하면, 저렇게 잡혀있는 것을 볼 수 있다.
ㄷㄷ

감동이다.

아이패드도 잘 되고, 아이폰도 잘되며, 맥북에서도 아주 잘 된다.
굉장히 만족스럽다.


안드로이드에서도 되나? 해서 이것저것 해봤는데
의지가 크지 않은지, 잘 안 됐다.


끝.